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30주기 유가족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25-06-27

1. 2025년 6월 29일은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이하 ‘삼풍참사’) 발생 30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사망자 502명, 부상자 937명의 피해를 남긴 이 참사는 한국 현대사의 대표적인 대형 인재로 기록되었으나, 현재까지 유가족을 대상으로 한 피해 실태 조사는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2. 올해 참사 30주기를 맞이하여, 삼풍백화점붕괴참사유족회(이하 ‘삼풍유족회’)와 재난피해자권리센터‘우리함께’(이하 ‘우리함께’)는 그동안 조명되지 않았던 유가족의 고통을 구조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정책 및 제도 개선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30주기 유가족 실태조사(이하 ‘실태조사’)’를 진행했습니다.


3. 참여자는 형제자매가 16명(53.3%)으로 가장 많았고, 부모 11명(36.7%), 배우자 2명(6.7%), 자녀 1명(3.3%)으로, 총 30명으로 유족회가 보유한 약 180명의 연락처를 바탕으로 참여 의사를 확인하고 모집되었습니다. 전국에 분포한 유가족의 나이와 건강 상태를 고려해 우편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실태조사의 내용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PTED(외상후울분장애)와 심리지원, 둘째 사안별 피해실태, 마지막으로 애도의 실천과 좌절입니다.

 

4. 첫째, ‘PTED와 심리지원’에서는 외상후울분장애(PTED) 척도를 바탕으로 유가족의 심리적 고통과, 심리지원 인식 및 개입의 필요성을 정량·정성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63.3%가 PTED 임상 기준 이상에 해당하였고, 반복적 사고, 분노, 무기력 등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울분 정서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참사 이후 유가족 중 83.3%가 전문가의 심리지원을 받지 못했으며, 현재도 장기적 울분 정서를 겪는 응답자가 63.3%에 달하지만 심리지원이 필요하다고 적극적으로 인식한 비율은 30%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유가족의 심리적 고통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거나 스스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회적·정서적·제도적 요인이 복합된 장기적 문제임을 시사합니다.

 

5. 둘째, 사안별 피해실태에서는 참사 당시 지원과 참사 이후 책임자 처벌 및 피해 보상의 효과, 마지막으로 참사 전·후의 가족관계와 고용의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우선 참사 당시 언론보도와 정부의 정보 제공의 적절성, 그리고 구조·수습·지원 과정에서 피해자의 목소리가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그 결과 압도적 다수의 유가족이 부정적으로 응답했고, 언론보도와 정부의 정보제공 지원과 관련해서 절반 이상(56.7%)의 유가족들이 강한 부정 반응을 보였습니다.

다음으로, 책임자 처벌에 대해서는 유가족 전원 모두 적절한 처벌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응답했으며, 이 또한 ‘매우 부정’이 73.3%를 차지했습니다.

더하여 당시 보상이 피해회복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28.6%로 나온 것에 비해, 부정적 응답이 46.5%로 높게 나왔습니다. 일부 유가족은 당시 협상이 충분한 협의를 바탕으로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으며, 금전적 지원 외에 다른 지원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마지막으로 관계 변화에 대해서는 가족관계와 고용유지를 초점에 맞춰 조사했고, 그 결과 참사 전·후로 가족관계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줄어들었고, 절반에 가까운 유가족이 참사 이후 가족 내의 갈등을 ‘겪은 적이 있다(48.3%)’라고 응답했습니다. 또한, 참사 전·후로 실직 상태에 놓인 유가족은 전체 응답자의 21.7%(5명)로 집계되었습니다.

 

6. 셋째, 애도의 실천과 좌절과 관련해서 유가족 모임, 추모 공간, 추모식을 중심으로 유가족의 인식을 조사했다. 먼저 상당수 유가족이 유가족 모임에 대해 만족하지 못한 결과가 나왔고, 그 이유에 대해 일부 유가족이 보이는 일방적인 자기주장에 대한 피로감에 있었습니다. 유가족들은 유가족 모임 자체에 부정적인 반응이기보다 ‘고통을 공유하며 애도하는 공동체’로서 유가족 모임이 기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추모 공간에 대해서는 과반수의 유가족이 현재의 추모공간에 만족하지 않았으며, 73.4%의 유가족들은 추모 공간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더하여 추모 공간의 조성과 관리에 있어, 과반수의 유가족은 ‘공공의 지속적인 관리(60.0%)’와 ‘정부·지자체의 책임 강화(50.0%)’를 선택했다. 한편, 현재 삼풍유족회와 ‘우리함께’는 가족의 시신이 방치되었던 난지도 노을공원에 추모비를 세우기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수습자 가족의 고통을 위로하고, 삼풍참사의 국가책임과 사회적 기억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리라 예상됩니다.

추모식에 대해서도 긍정 응답이 25%에 불과했는데, 유가족들은 추모식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들기 위해서 정부·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7. 끝으로, 이번 실태조사에 참여한 유가족 중 86.7%는 삼풍참사가 한국 사회에서 충분히 기억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형언할 수 없는 충격과 슬픔이 오직 개인에게만 떠넘겨진 현실에서, 유가족들은 참사와 관련된 기억을 마주할 때마다 30년 전 그날의 고통을 다시 겪었고, 참사를 망각해 온 한국 사회를 원망했으며, 자신을 책망하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유가족들은 삼풍참사의 사회적 기억과 애도를 멈출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실태조사를 마치고 유가족들이 가장 많이 남긴 말은 잊지 않겠다는 ‘기억의 약속’과 이와 같은 아픔이 다시는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는 ‘재발 방지의 다짐’이었습니다.

 

8. 따라서 이번 실태조사는 삼풍참사 유가족의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서 한국 사회의 사회적 정의와 책임을 요청합니다. 유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적 지원과 함께, 기억과 애도를 가능하게 하는 국가책임-현재 양재시민의 숲에 조성된 추모공간 관리에 있어 공공의 지속적인 관리와 정부·지자체의 책임강화, 난지도 노을공원에 실종자 추모 표지석 설치, 추모식에 대한 정부·지자체의 지원 등-을 요청합니다. 다시 한 번 삼풍참사의 기억을 위한 사회적 애도와 국가의 책임을 강조하는 바입니다.


조사결과 자료는 PDF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재난피해 지원과 관련해 궁금한 사항이나 도움이 필요한 일이 있다면 전화와 메시지를 남겨주세요. 


- 1661-2014(전화 가능)

- 카카오톡 채널: 416긴급콜(문자 가능)

- kdrcwithus@gmail.com(이메일 상담)

재난피해자권리센터

이메일 kdrcwithus@gmail.com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창경궁로 6 부성빌딩 7층


ⓒ 2023 all rights reserved - 재난피해자권리센터.

4·16재단 부설 재난피해자권리센터

주소 (04559) 서울특별시 중구 창경궁로 6, 부성빌딩 7층

Tel 02-2285-2014

E-mail kdrcwithus@gmail.com

인스타그램 @kdrcwithus

ⓒ 재난피해자권리센터 All Rights reserved. SITE BY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