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8공주사대부고 병영체험학습 참사

(구 태안 사설해병대캠프 참사/ 2013. 7. 18)


유가족들에게 양파 껍질 벗기듯이 시간대별로 조사해서 책임자 처벌은 물론이고 
관리감독을 잘못한 부분에 대해서도 엄중처벌 하겠다, 
교육부장관의 명예를 걸고 약속한다고 했고 저희는 그걸 믿었어요. 
근데 안 되는 거예요. 유가족들이 약 9개월 동안 한시도 멈추지 않고 
동분서주하며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외치고 또 외쳤지만 
결국 힘없는 서민의 무기력함만을 자책해야 하는 상처로 남았어요.

참사 개요

7·18공주사대부고 병영체험학습 참사는 2013년 7월 18일 학교 체험학습의 일환으로 사설 해병대캠프 훈련에 참가했던 공주사대부고 2학년 학생 5명이 바다에 빠져 희생된 참사이다. 학교의 관리감독 미흡, 무자격 교관 운영, 태안군의 관리감독 소홀 등이 참사의 주요한 원인이었으며, 복종의 문화가 문화적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일시: 2013년 7월 18일 오후 4시경

장소: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1287-16 백사장 해수욕장

희생자: 5명

생존자: 25여 명


타임라인

2013.07.17.

공주사대부고 2학교 198명, 체험학습의 일환으로 해병대캠프 참가


07. 18. 바닷가에서 교관 지시하에 구명조끼 벗고 훈련 중 학생 5명 실종

07. 19. 5명 익사 상태로 발견

07. 20. 유가족들, 해병대 사칭 캠프 근절 및 책임자 처벌 요구하며 장례 거부

07. 24. 교육부의 책임 있는 사태 수습 약속하에 장례식 엄수 및 천안공원묘지에 안장


12. 23. 1심 판결로 해병대캠프 관계자 6명 업무상 과실치사죄로 전원 실형 선고(각 6개월에서 2년). 유가족들, 솜방망이 처벌이라며 강력 항의

12. 유가족들,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며 청와대 앞 1인 시위 (2014년 가을까지 지속)

2014-2019


2014. 07. 24. 2심 판결로 해병대캠프 관계자 2명에 대한 형량 각각 6개월씩 증가, 4명에 대해서는 1심 형량 유지. 유가족들, 재정신청냈으나 기각.


2015. 01. 20. 학교안전법 개정, 외부 위탁 교육활동 안전기준 마련 


2019. 09. 18. 충남교육청 수련원 내 충남 학생안전체험관, 메모리얼관, 추모비 조성

2019. 11. 공주 사대부고 내 추모카페 다섯손가락 완공

2023.07.18.


유가족들은 학교 측의 참사 책임을 분명히 한다는 의미에서 참사 10주기를 맞아 참사명을 ‘7·18 공주사대부고 병영체험학습 참사’로 바꾸고 4·16재단과 함께 백서 발간


관련 자료
2025-02-24
조회 1

<생명안전 피해자 백서> 사업은 재난 참사 피해자의 목소리를 온전히 담은 기록을 통해 관련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사회적 애도를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에 의의가 있습니다. 피해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참사의 진실을 밝혀 사회적 의미를 살리고자 합니다.

그 첫 번째 기록으로 10주기를 맞은 7·18 공주사대부고 병영체험학습 참사(구. 태안 사설해병대캠프 참사)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참사 발생과 이후의 시간, 주요 쟁점, 관계자 인터뷰 및 희생자 약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참사 당일인 2023년 7월 18일(화)에는 백서를 소개하는 북콘서트를 진행하며 지난 10년을 돌아보고 미래를 준비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북콘서트 현장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북콘서트 다시 보기: https://bit.ly/718bookconcert

함께 읽어주시고 시청해주시며 7·18 공주사대부고 병영체험학습 참사를 기억해주세요.

※ 아래에 첨부된 파일을 클릭하시면 해당 제작물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4·16재단에서 배포했으며, 비영리 목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